1980년 카터와 맥 골드릭(Carter & McGoldrick)은 일반 체계 이론을 통합한 새로운 가족생활주기의 개념을 정리해 발표하였다. 그들은 가족생활주기의 기본적인 단계를 나눌 때, 현대사회의 새로운 동향이 반영된 과제를 첨가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은 이 같은 새로운 경향으로 소속되지 않은 어른(young adult)과 이혼 및 재혼가정을 들었다. 그들은 현대사회에서는 자신의 원가족과 결혼 가족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은 어른의 기간이 있으므로 이것을 가족의 출발, 즉 첫 단계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또한 이혼에 동반하는 가족생활주기의 혼란과 그 전후의 가족 과정이나 재혼에 의한 새로운 가족 형성의 문제를 예외적 현상으로 생각하지 않고 기본적인 가족 과정으로 보았다. 또한 그들은 가족 발달과제을 가족이라는 전체 속에서 관계를 확대하거나 축소, 그리고 재편성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이들이 제안한 가족생활주기의 단계는 실제 가족 상담 과정에 많은 도움을 준다.
가족생활주기의 관점에서 가족 역동을 생각할 때, 일반적으로 문제행동으로 생각하는 개념은 가족항상성, 이중구속, 거짓 상호작용, 부모의 연합, 세대 간 경계의 확립, 성별 역할의 유지, 가족 규칙, 가족 신화 등이다. 이들 개념의 대부분은 조현병의 가족 연구에서 발전된 것이지만, 현재는 어떤 문제를 가진 가족관계나 가족 역동을 이해하는 데도 유익한 관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근거해 각 단계에 대해 간단한 고찰을 하기로 한다. 첫 번째 단계는, 자신이 태어난 원가족과 앞으로 만들어 갈 결혼 가족 중간에 있으며, 원가족에서는 분리했으나 아직 다른 가족을 구성하지 않아 소속되지 않은 어른의 단계다. 이 단계에 속한 개인은 원가족에서 자신이 분화했다는 의식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며, 더 나아가 적절한 직장을 찾는 동시에 동료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을 몸에 익혀야 한다.
두 번째 단계는, 결혼에 의한 가족 결합이다. 이 과정에서 두 사람은 서로에 대한 헌신이 필요하며, 그 결과 새로운 부부체계가 형성된다. 이 단계의 개인에게는 확대가족이나 친구 사이에서 생기는 관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며, 결혼을 계기로 원가족과의 관계를 재구성해야 한다.
세 번째 단계는, 어린 자녀가 있는 가족이다. 자녀의 등장은 가족 체계에 많은 변화를 요구한다. 이미 존재하는 부부체계에 새로운 부모 자녀체계가 더해지는 것이다. 새로운 세대를 가족 체계에 받아들이는 것뿐만 아니라, 확대가족과의 관계에서도 변화가 일어난다. 이들의 부모는 조부모의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 같은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는가도 중요한 부분이다.
네 번째 단계는, 청년기 자녀가 있는 가족이다. 여기서는 부모·자녀 관계에서 자녀가 자립하기 위한 단계적이지만 커다란 변화가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청소년기의 자녀들은 가족 체계를 들락거리면서 가족 경계를 유연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적인 것은 부모 세대가 이 같은 자립을 위한 자녀의 발달과제를 수용하면서 지금까지 부모로서 보다 많은 관심을 가졌던 자신들의 관점을 부부에게로 전환하는 것이다. 때로는 자녀 양육을 위해 집에 있던 어머니가 다시 새로운 사회활동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다섯 번째는, 자녀가 집을 떠나 자립의 시기다. 이 시기는 젊은 세대가 자립하는 시기이므로, 가족 구성원의 들락거림이 더욱 심해진다. 또한 조부모가 노약하여 질병으로 시달리거나 부모 세대에게 의존하게 된다. 자녀들은 사회에서 자립한 성인으로 역할 하게 됨으로써 가정에서도 자녀를 평등한 어른으로 인정하는 새로운 부모·자녀 관계를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자녀가 결혼해 그들의 자녀를 가지면 조부모로서 해야 할 역할도 필요하다. 자녀들은 친인척과도 관계를 맺는데, 이 시기 윗세대의 질병이나 죽음과 직면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마지막 단계는 노후이다. 부모 세대는 조부모 세대로서 둘만 남게 되므로 이들은 새로운 관심이나 사회생활을 만들 필요가 있다. 동시에 중간세대가 가족 속에서 더욱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되며, 윗세대의 지식과 경험을 존중하며 수용하지만
그들에게 의존하기보다는 오히려 그들을 돌보는 위치로 바뀐다. 동시에 이 시기는 배우자, 형제, 동료에게 영향을 주는 윗세대의 질병이나 죽음을 경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결중심가족치료-상담기법> (0) | 2022.05.10 |
---|---|
<가족정서체계치료> (0) | 2022.05.10 |
<기능적인 가족의 지표> (0) | 2022.05.10 |
<상담종결> (0) | 2022.05.10 |
<이야기 치료> (0) | 2022.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