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 건강생활실천지원금 혜택받기

레몬밤- 2022. 9. 19. 22:40
반응형

지원금의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질환을 경험하시는 분들이 꾸준히 건강관리를 하실 수 있도록 작게나마 동기부여를 하실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사업이라 생각하며 기왕 건강관리를 하신다면 이런 혜택까지 함께 받으실 수 있는 건강생활 실천 지원금 제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건강생활 실천 지원금 제도란? 
  2. 시범사업대상 지역
  3. 건강생활 실천 지원금 대상
  4. 건강생활 실천 지원금 신청방법
  5. 건강생활 실천 지원금 유형
  6. 건강생활 실천 지원금 적립액 

건강실천지원금 제도를 알아보는 포스팅 입니다.
고혈압 및 당노병 환자 건강생활실천지원금 혜택

건강생활 실천 지원금 제도란? 

  • 건강관리 실천 지원금 제도는 고혈압 및 당뇨병 등을 앓고 있는 질환자가 스스로 건강을 개선하고 회복하고자 노력하면 국가에서 연간 최대 5~6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건강검진을 해보시면 체중, 혈압 등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항목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꾸준한 건강관리를 통해 체중이 감소한다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5~6만 원 수준의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시범사업대상 지역

  • 건강예방형 : 서울 노원구, 경기 안산시, 부천시, 대전 대덕구, 충북 충주시, 충남 청양군(부여), 광주 광산구, 전북 전주시, 전남 완도군, 부산 중구, 대구 남구, 달성군, 경남 김해시, 강원 원주시, 제주 제주시
  • 건강관리형 : 서울 중랑구, 인천 부평구, 경기 고양시 일산구, 남양주시, 대전 동구, 광주 서구, 전남 순천시, 대구 동구, 부산 북구, 원주시

 

건강생활실천 지원금 제도 대상

  • 21년부터 시작된 시법사업으로 3년간 24개 지역에 거주하시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진행합니다. 
  • 만 20~64세인 사람을 대상으로 건강예방형과 건강관리형으로 구분하여 관리됩니다. 
  • 건강예방형은 일반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중 혈압, 혈당, 체질량 지수가 위험 그룹에 속해야 하며 건강관리형의 경우 나이와 무관하게 만성질환(고혈압, 당뇨병) 관리 시범사업에 등록한 환자가 참여 가능합니다. 
  • 건강예방형 사업의 경우 체질량지수 25kg/m2 이상, 고혈압, 공복혈당 100mg/dl 이상이신 경우 대상에 해당됩니다. 
반응형

건강생활실천 지원금 제도 신청 방법

  • 시법사업대상 지역에 거주하시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하셔야 합니다. 
  • 확인 후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건강 in을 클릭하시고 접속합니다 
  • 왼쪽 메뉴항목에 있는 건강생활실천 지원금제를 클릭 후 참여 신청을 합니다. 
  • 위 안내드린 온라인 신청 이외에도 시범지역을 관할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건강생활실천 지원금 유형

  • 건강 관리 지원금은 실천 지원금과 개선 지원금 형태로 지원합니다. 
  • 실천 지원금은 말 그대로 건강한 생활을 위해 걷기, 건강프로그램 등에 참여할 때 적립을 해주며 개선 지원금은 체중이나 혈압 등 건강이 개선된 지표가 있을 경우 적립금을 지원하는 형태입니다. 

 

지원금 적립액

  • 실천 지원금은 걸음수 기준 80~100원까지 하루에 적립이 가능하며, 최대 18,000원까지 적립 가능합니다. 
  • 개선 지원금은 체중, 혈당, 공복혈당 세 가지 항목을 토대로 단계별로 개선될 때마다 15,000~20,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 
  • 해당 건강관리실천을 통해 최대 적립할 수 있는 금액은 6만 원이며 즉시 현금으로 주는 것이 아니라 위의 건강실천을 통해 포인트가 적립되면 대상자에게 지급하고 지급받은 대상자는 현금처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